
중견기업 10곳 중 6곳(59.1%)이 인공지능(AI)을 ‘미래 생존의 필수 조건’으로 인식하고 있지만, 실제 도입률은 2곳(18.1%)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I 도입 양극화’가 단순한 시점의 차이를 넘어 성과의 격차로 이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22일 한국중견기업연합회(중견련)가 발표한 ‘중견기업 AI 도입 및 활용 실태 조사’에 따르면, AI를 이미 도입한 기업의 97.0%는 “AI가 성과 달성에 도움이 됐다”고 답했다.
이들은 ‘의사 결정 정확도 및 속도 향상(41.2%)’, ‘생산성 제고(38.2%)’ 등을 주요 성과로 꼽으며, 이미 경쟁력의 체질 개선에 나서고 있었다. 반면, 전체 중견기업의 절반 이상(55.3%)은 아직 AI 도입 계획조차 세우지 못한 상태다. AI의 필요성을 인식하고도 “어떻게, 언제 시작할지”를 정하지 못한 기업이 절대다수인 셈이다.
업계에서는 “AI가 기업 생존의 분기점이 되고 있지만, 준비가 안 된 기업은 점점 뒤처질 수밖에 없는 구조”라는 우려가 나온다.

AI 도입을 가로막는 장벽은 기업의 ‘현주소’에 따라 극명히 갈렸다. 이미 AI를 도입한 기업들은 ‘더 잘 활용하기 위한’ 인력난을 호소했다. 이들의 주요 애로사항은 ‘전문 인력 부족(41.2%)’과 ‘기술·인프라 부족(20.6%)’이었다. 즉, 이들은 AI고도화 단계로 넘어가기 위한 내실 다지기에 집중하고 있었다.
반면, 아직 시작도 하지 못한 기업들은 보다 근본적인 어려움을 토로했다. ‘높은 초기 비용(31.7%)’, ‘투자 대비 효과 불확실성(19.2%)’, ‘경영진의 낮은 관심도(19.2%)’ 등이 AI 도입을 가로막는 주된 이유로 꼽혔다.
결국 일부 선도 기업이 ‘AI 활용 역량 강화’에 나서는 동안, 다수의 기업은 초기 투자와 인식 부족이라는 문턱조차 넘지 못하고 있는 셈이다.
이처럼 AI 활용 수준에 따른 구조적 격차가 벌어지면서, 정부의 정책 지원에 대한 요구도 커지고 있다.
중견기업들은 AI 확산을 위해 ‘AI 인프라 구축(22.9%)’, ‘R&D 및 투자비 지원(21.8%)’, ‘AI 전문 인력 양성(21.3%)’ ‘세제 혜택 등 인센티브 제공(20.2%)’ 등을 시급한 지원 과제로 꼽았다.
이호준 중견련 상근부회장은 “정부가 ‘AI 3대 강국 도약’을 천명할 만큼, AI는 미래 경쟁력의 핵심”이라며
“AI 전문 인력 양성, 인프라 구축 등 산업별 현실에 맞는 종합 지원 체계가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e마케팅저널 이채영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