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캄보디아 여행경보 격상…“한국인 납치·감금 피해 급증”

외교부, 프놈펜 등 주요 지역에 ‘특별여행주의보’ 발령


[출처=픽사베이]

최근 캄보디아에서 한국인 대상 범죄가 급증하면서 외교부는 10일 오후 9시를 기해 캄보디아 일부 지역에 대한 여행경보를 상향 조정했다. 특히 수도 프놈펜 등 주요 지역은 기존 ‘여행자제(2단계)’에서 ‘특별여행주의보’로 격상되었다. 이번 조치는 한국인 납치·감금 등 강력범죄 사례가 잇따르고 있는 데 따른 것으로, 정부는 국민의 신변안전을 최우선으로 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외교부와 경찰 당국에 따르면, 최근 2년간 캄보디아 내 한국인 대상 납치·감금 피해 신고 건수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2022~2023년에는 연간 20건 수준이었으나 지난해 220건을 넘어섰고, 2025년 들어서는 이미 8월 기준으로 330건을 돌파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온라인 불법 도박이나 고수익 해외 취업을 미끼로 한 사기 조직이 한국인을 현지로 유인해 감금하거나 협박하는 사례가 잇따르면서 현지 치안 불안이 심화되고 있다.

 

지난 8월 깜폿주 보코르산 인근에서는 20대 한국인 남성이 범죄조직에 납치돼 고문을 당한 뒤 사망한 채 발견돼 충격을 준 바 있다. 외교부는 이러한 사건들이 대부분 단순 강도나 우발적 범죄가 아니라 조직적 인신매매·사기 범죄로 보고 있으며, 현지 정부와의 공조 강화를 통해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 중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이번 여행경보 격상과 함께 캄보디아 정부에 치안 강화 및 자국민 보호를 강력히 요청했으며, 주한 캄보디아 대사를 초치해 항의했다. 경찰청 또한 캄보디아 현지 경찰과 협력을 확대하고, 한국인 대상 범죄를 전담할 ‘코리안 데스크’ 설치를 추진 중이다. 그러나 외교부는 아직 ‘여행금지(적색경보)’로의 상향은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여행금지는 특별여행주의보보다 한 단계 높은 단계로, 절차적 요건과 외교적 협의가 필요하다는 이유에서다.

 

이번 조치로 인해 여행업계는 직격탄을 맞고 있다. 특히 겨울 성수기를 앞두고 인천~시엠레아프 노선 재개를 준비하던 항공사와 여행사들이 예약 취소와 환불 문의로 혼란을 겪고 있다. 여행업계 관계자는 “단체 패키지 상품은 비교적 안전하더라도 자유여행객의 경우 위험 노출이 커질 수 있다”며 “소비자 불안이 쉽게 가라앉지 않을 것”이라고 우려를 나타냈다.

 

일부 유튜버들이 “현지는 생각보다 안전하다”는 영상을 게재하며 논란이 일기도 했지만, 전문가들은 “개별 여행객의 인식이 범죄조직의 표적이 될 수 있다”며 경각심을 당부하고 있다.

 

외교부는 캄보디아를 방문할 예정인 국민들에게 불요불급한 여행은 자제하고, 현지 체류 중인 국민들에게는 야간 외출과 단독 이동을 삼가며 현지 대사관의 안전 공지를 수시로 확인할 것을 권고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가 단기적으로는 여행 수요 위축을, 장기적으로는 캄보디아 관광산업의 신뢰도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하며 정부 간 공조 강화와 신속한 사건 대응 체계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한국e마케팅저널 박혜빈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