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부는 중소기업 지원 정보 조회와 각종 행정 신청 등을 손쉽게 처리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기반의 ‘중소기업 통합지원 플랫폼’을 구축한다고 4일 밝혔다. 현재 기업이 여러 정부 부처·지방자치단체 사이트를 통해 흩어져 찾아야 했던 지원사업 공고와 신청 절차를 하나의 플랫폼으로 통합함으로써 접근성과 효율성을 높이겠다는 것이다.
정부 관계자는 이번 플랫폼이 기업이 로그인 한 번으로 중앙정부, 지자체 및 관계 기관이 운영하는 약 2,700여 개 지원사업을 확인하고 신청까지 가능하도록 설계된다고 밝혔다. 특히 인증서(사업자등록·벤처기업확인 등) 21종을 플랫폼 내에서 통합 발급하고, 로그인만으로 신청 채널 약 37곳이 연계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평균 9개 수준이던 기업의 지원사업 신청 서류 제출 건수를 약 4.4개 수준으로 절감하고, 현재 43% 수준인 행정정보 연계율을 내년까지 96% 수준으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아울러 인공지능(AI)을 활용해 기업의 업종·지역·지원이력·검색기록 등을 학습해 맞춤형 지원사업을 추천하고, 사업계획서 자동초안 작성 기능도 탑재해 신청인의 서류 작성 부담을 낮추겠다는 것이다. 또 불법 브로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3개 지방 중소벤처기업청과 7개 산하 공공기관에 제3자 부당 개입 예방·신고 채널을 운영하고, AI를 활용해 브로커가 대리 작성한 사업계획서를 적발할 예정이다.
기업 현장에서는 이러한 개편이 지원사업 접근성을 높이고 신청 절차의 문턱을 낮출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반응이 나오고 있으며, 특히 중소기업·소상공인 입장에서 분산된 정보가 한 눈에 들어오고 서류 부담이 줄어드는 것에 기대를 보인다.
다만 플랫폼 구축이 실제로 얼마나 빠르게 진행될지, 기존 시스템과의 이관 과정이 매끄럽게 이뤄질지, AI 추천 및 자동계획서 기능이 기업 환경에 얼마나 정밀히 맞춤화될지, 또한 불법 브로커 차단·개인정보·보안 문제 및 지자체 등 지원기관과의 연계 수준이 실효성 있게 구현될지 등의 과제도 제기된다.
중기부는 이번 발표를 통해 연내 플랫폼 시범버전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내년에는 본격 가동 및 연계율 확대를 추진할 예정이다.
이번 통합지원 플랫폼 구축은 “중소기업·소상공인의 불편을 해소하겠다”는 중기부의 정책 전환으로 평가되며, 앞으로 제도 설계·시스템 구현·현장 정착까지 넘어야 할 산이 존재한다는 점에서 플랫폼이 단순한 발표 문구에 그치지 않고 실제로 기업의 체감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을지 주목된다.
한국e마케팅저널 조경선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