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일반

편의점 안전상비약 품목 확대 요구, 국민 여론 10명 중 9명

소비자 인식조사 결과, 품목 확대·세분화 요구 높아…법 개정 요구도 증가

 

22일 한국편의점산업협회는 안전상비약시민네트워크가 실시한 '2025 편의점 안전상비약 제도 개선 소비자 인식조사' 결과를 발표하였다. 이번 조사는 편의점에서 안전상비약을 판매한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있는 소비자 1,087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83.8%가 실제 구매 경험이 있다고 답했으며, 85.4%는 품목 확대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국내 생산이 중단된 품목 2종 교체 의견까지 포함하면 94.7%가 현행 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답해 소비자 불편이 상당한 것으로 드러났다.

 

소비자들이 희망하는 개선 방향은 ▲새 효능군 추가(46.7%) ▲증상별 세분화(44.0%) 순으로 나타났으며, 구체적으로는 ▲소아용 전용약(22.3%) ▲증상별 진통제(21.0%) ▲증상별 감기약(20.5%)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았다. 특히 응답자의 39.7%는 법 개정을 통해서라도 품목을 20개 이상으로 확대해야 한다고 답해 제도 변화 필요성에 무게가 실렸다.

 

현행 제도는 해열·진통제, 소화제, 감기약, 파스 등 4개 효능군 11종만 판매할 수 있도록 제한돼 있다. 이는 국내 일반의약품 4,800여 종과 비교해 매우 적은 수준으로, 소비자 접근권 보장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이어져 왔다. 더구나 생산이 중단된 품목이 포함돼 공급 안정성에도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또한 소비자들은 긴급 상황이나 약국 영업시간 외에 편의점을 찾는 경우가 많다고 응답했다.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68.8%가 공휴일·야간 시간대에 약이 필요해 편의점을 찾았으며, ‘약국보다 가까워서’ 이용했다는 응답도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전문가와 시민단체는 “안전상비약은 일반의약품 중에서도 안전성을 확보한 품목으로, 품목 확대가 국민 편익 증진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주장한다. 남서울대 이주열 교수는 “13년째 동일 품목으로 운영되는 현행 제도가 국민 기대 수준을 충족하지 못하고 있다”며 “실질적이고 체계적인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조사 결과는 소비자가 안전상비약 제도의 변화를 강하게 요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정부와 국회, 전문가 단체가 협력해 품목 확대와 제도 개선 방안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한국e마케팅저널 조경선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