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가 컬리와 함께 선보인 온라인 장보기 서비스 ‘컬리N마트’가 서비스 오픈 한 달 만인 10월 거래액이 50% 이상 증가하며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
네이버는 25일 “네이버플러스 멤버십을 중심으로 빠르게 단골 생태계가 형성되고 있다”고 밝히며 이번 성과의 배경으로 2만원 이상 무료배송 혜택, 엄선된 프리미엄 상품 큐레이션, 컬리의 물류센터를 기반으로 한 안정적인 배송 인프라를 꼽았다.
실제 이용자 데이터를 보면 컬리N마트 고객의 80% 이상이 네이버플러스 멤버십 회원이며, 이들 멤버십 회원의 재구매율은 비회원 대비 약 2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회 이상 반복 구매를 한 ‘단골 고객’ 비율은 비멤버십 대비 15배 이상 높아 단기간 내 충성도 높은 이용자가 빠르게 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용자 구성에서도 30~40대가 70% 이상을 차지하며, 온라인 장보기에 익숙한 핵심 소비층이 먼저 안착한 모습이다. 상품군별 거래액 증가율도 뚜렷하다.
신선식품 카테고리에서는 달걀 거래액이 전월 대비 약 2.3배, 쇠고기는 1.9배 증가했으며, 축산·농산·냉동 간편조리식품 순으로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프리미엄 밀키트와 냉동 가정간편식 역시 수요가 상승하며 ‘이연복의 목란 짬뽕’, ‘조선호텔 떡갈비’, ‘사미헌 갈비탕’ 등 브랜드 제품 중심으로 거래액이 크게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샐러드·도시락류는 전월 대비 약 2배, 이유식·분유류는 약 3배 가까운 증가세를 기록해 ‘품질 중심’ 소비 성향이 강화되는 흐름도 확인됐다.
네이버는 그간 플랫폼 내 식품·식자재 거래는 강했지만, 새벽배송·신선배송 인프라에서는 상대적으로 약세를 보였다. 이번 협업을 통해 컬리의 물류 역량을 흡수하면서 배송 품질을 보완하고, 동시에 컬리는 네이버 검색·스토어·멤버십 기반의 유입을 확대할 수 있어 양사 모두 전략적 시너지가 크다는 평가다.
다만 거래액 성장세와 별개로 수익성 확보는 여전히 중요한 과제로 남아 있다. 장보기 카테고리는 배송 인력·물류센터 운영비 등 고정비 구조가 크기 때문에 증가한 거래액이 실제 이익으로 이어지는지는 추가 검증이 필요하다. 일각에서는 컬리N마트가 컬리 기존 고객을 네이버 플랫폼으로 이동시키는 ‘카니발라이제이션(자기잠식)’ 우려도 제기되지만, 네이버는 “플랫폼 간 고객 충성도 확장이 장기적으로 긍정적”이라는 입장이다.
네이버와 컬리는 향후 멤버십 전용 혜택 확대, AI 기반 맞춤형 상품 추천 고도화, 단골 고객 구매주기 분석 등을 통해 서비스 완성도를 높일 계획이다. 온라인 장보기 시장이 가격 경쟁 중심에서 ‘경험·품질 중심 소비’로 재편되는 가운데, 컬리N마트의 빠른 성장세는 장보기 플랫폼 경쟁의 새로운 변곡점으로 평가된다.
네이버 관계자는 “멤버십 이용자의 반복 구매와 충성 고객 확대가 핵심”이라며 “데이터 기반 큐레이션과 물류 안정성을 강화해 일상 장보기의 새로운 표준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한국e마케팅저널 조경선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