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일반

2026년 소비 트렌드, ‘AI와 인간다움’이 키워드

서울대 김난도 명예교수, AI 확산 속 인간 중심 소비와 조직 변화 전망

서울대학교 소비자학과 김난도 명예교수가 2026년 소비 트렌드로 ‘AI’와 ‘인간다움’을 핵심 키워드로 제시했다. 24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트렌드 코리아 2026’ 출간 기자간담회에서 김 교수는 내년도 10가지 주요 트렌드를 소개하며, AI가 소비와 조직을 변화시키는 한편, 인간 중심 요소가 다시 주목받는 현상을 강조했다.
 

① 휴먼인더루프

AI가 거의 모든 업무를 수행하는 시대일수록 인간의 개입은 필수적이다. ‘휴먼인더루프(Human-in-the-loop)’는 AI가 업무를 처리할 때 인간이 반드시 검증과 조정을 거쳐야 한다는 원칙을 의미한다. 김 교수는 “AI는 생산성을 높이는 도구일 뿐, 절대 만능이 아니다. AI가 만든 결과물을 평가하고 수정할 수 있는 인간의 전문성이 더욱 중요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단순히 기술 활용을 넘어, AI와 인간이 협력하는 새로운 업무 방식의 필요성을 보여준다.

 

② 필코노미

‘필코노미(The Feelconomy)’는 소비자의 기분과 감정을 중시하는 소비 경향을 뜻한다. 예를 들어, 지난달 오늘의집 팝업은 일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생필품들이 일명 ‘감성템’으로 맞춰 디자인된 쇼룸을 공개했다. 기분과 감정, 감성에 따라 사소한 소품들로부터 조화롭게 배치된 쇼룸은 당시 소비자들의 뜨거운 관심을 모았다. 김 교수는 “현대 소비자는 불편한 감정을 숨기기보다 이를 관리하고, 좋은 기분을 구매하려는 경향이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중소기업 입장에서도 고객의 감정 경험을 제품과 서비스에 녹이는 전략이 경쟁력이 될 수 있다.

 

 

③ 제로클릭

과거 소비 과정은 탐색·비교·선택·결제·구매 등 여러 단계를 거쳤지만, AI가 개인 맞춤형 추천을 제공하면서 ‘제로클릭(Zero-click)’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소비자가 직접 검색하거나 클릭할 필요 없이 원하는 상품을 바로 추천받는 시대가 온 것이다. 김 교수는 “AI 기반 추천이 비즈니스 패러다임을 바꾸고 있으며, 클릭 없는 소비가 새로운 표준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④ 레디코어

‘레디코어(Ready+Core)’는 미래 경험을 현재로 불러오는 준비성과 대비를 강조하는 소비 태도를 의미한다. 불확실한 시대를 살아가는 젊은 세대는 실패 가능성에 시간을 낭비하기보다, 철저한 예행연습과 사전 준비로 경험을 통제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김 교수는 “노션과 같은 생산성 툴 사용이 높은 대학 상위 10곳 중 4곳이 한국 대학이라는 점도 이런 세대적 특성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⑤ AX조직

‘AX조직(AI Transformation 조직)’은 AI 도입으로 기존 계층과 부서 중심 조직이 유연하고 자율적인 프로젝트 중심 조직으로 변화하는 현상을 뜻한다. 김 교수는 “더현대, 컬리 등의 성공 사례는 AI 활용뿐 아니라 슬림하고 유연한 조직문화 덕분에 가능했다. AI 시대에는 개인의 학습 능력이 곧 경쟁력이 된다”고 강조했다.

 

⑥ 픽셀라이프

‘픽셀라이프(Pixelated Life)’는 한 가지를 깊게 하기보다 다양한 경험을 짧게 즐기는 생활 양식을 의미한다. 원데이클래스, 저가형의 소용량 화장품, 일주일간 운영되는 팝업스토어 등이 대표적 사례다. 기업은 완벽한 제품보다는 베타 버전을 지속적으로 출시하며 소비자 반응을 반영해 개선하는 전략을 선호한다.

 

⑦ 프라이스 디코딩

‘프라이스 디코딩(Price Decoding)’은 소비자가 제품 가격 구조를 분석하고, 상품 가치를 기반으로 합리적인 소비를 결정하는 행동을 말한다. 김 교수는 “소비자는 단순히 저렴한 가격을 찾는 것이 아니라, 가치 있는 것에는 충분히 비용을 지불하고, 불필요한 것에는 투자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⑧ 건강지능 HQ

‘건강지능 HQ(Health Intelligence)’는 건강 관리의 패러다임 변화를 보여준다. AI와 의료 정보를 활용해 선제적·과학적 건강 관리에 나서는 2030 세대가 늘고 있으며, 탈모 예방, 저속노화, 당뇨 대비 등이 일상 소비로 자리 잡고 있다. 김 교수는 “건강 관리는 더 이상 개인의 선택이 아니라, 과학적 데이터 기반 생활의 핵심”이라고 말했다.

 

⑨1.5가구

‘1.5가구’는 단순 1인 가구가 아닌, 독립성과 연결감을 동시에 추구하는 새로운 주거 형태다. 혼자 살더라도 부모나 주변과 긴밀히 연결되며, 필요할 때 지원을 주고받는 삶을 의미한다. 김 교수는 “현대 사회에서는 혼자이면서도 완전히 독립하지 않는 관계가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

 

⑩ 근본이즘

‘근본이즘(Fundamentals)’은 급속한 변화와 기술 발전 속에서 전통과 근본적 가치를 찾는 소비 경향을 뜻한다. 김 교수는 “AI 기술이 발달할수록 진짜와 근본에 대한 관심이 커진다”며, 박물관, 전통 브랜드, 역사를 견뎌온 원조 제품에 대한 소비자 선호가 높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김난도 교수는 “AI와 인간 중심 가치가 동시에 중요해지는 시점에서, 2026년 소비 트렌드는 기술과 인간적 요소가 함께 발전하는 방향으로 전개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국e마케팅저널 이채영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