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일반

카카오톡, 메시지 알림 없는 ‘조용히 보내기’ 기능 도입

밤·새벽 시간 알림 방해 최소화…배려형 커뮤니케이션 기능 첫 적용

 

국내 최대 모바일 메신저인 카카오톡이 상대방의 스마트폰에 알림음이나 진동이 울리지 않도록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조용히 보내기’ 기능을 새롭게 도입했다.

 

카카오는 18일 업데이트를 통해 해당 기능을 정식 적용했으며, 이용자들이 조용한 시간대나 업무·수면 중 상대방을 방해하지 않고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실질적 선택권을 제공하게 됐다고 밝혔다. 실제로 최근 다양한 플랫폼에서 ‘방해 최소화’ 설정이 강화되는 흐름 속에서, 메신저 자체에서 알림 없는 전송 기능을 제공하는 것은 국내 주요 메신저 중 처음이라는 점에서도 주목된다.

 

새 기능은 메시지 입력 후 전송 버튼을 길게 눌러 ‘조용히 보내기’를 선택하면 자동으로 무음·무진동 상태로 발송되는 방식이다. 사진과 동영상 파일도 동일한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어 일반 메시지와 기능 차이는 없다. 수신자는 소리나 진동 대신 앱 아이콘의 배지나 채팅방 내부의 ‘읽지 않음’ 표시를 통해 메시지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카카오는 “야간, 회의 시간, 도서관, 극장 등 생활 속 다양한 장면에서 메시지가 불필요한 소음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며 “이용자들이 원하는 대화 방식에 맞춰 카카오톡이 더 유연한 소통 도구가 되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기능 도입 배경에는 이용자들의 ‘배려 기반 커뮤니케이션’ 요구 증가가 자리하고 있다. 기존에는 메시지를 보내지 않거나 매우 늦게 답변하는 방식으로만 상대방을 배려할 수 있었지만, 필요 시 즉시 메시지를 보내되 소음 없이 전달하고 싶다는 의견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특히 직장 내 단체대화방에서는 공지나 보고가 잦아 알림음이 과도하게 울리는 ‘알림 폭탄’ 문제도 반복돼 왔으며, 가족 단체방이나 학부모 대화방에서도 새벽 시간 메시지 알림에 대한 불편이 자주 언급됐다. 카카오에 따르면 최근 UI 개편 이후 다양한 기능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불필요한 소음 없이 메시지를 주고받고 싶다”는 의견이 비중 있게 수집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번 업데이트는 카카오톡이 최근 적용하고 있는 UX 조정의 일환으로도 평가된다. 지난 9월, 카카오톡이 친구 목록 대신 피드 중심 화면을 도입하면서 상당한 이용자 반발이 발생했으며, 이후 카카오는 기능 중심 업데이트를 통해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전략을 조정해왔다. 이에 따라 ‘조용히 보내기’ 기능은 이용자 만족도를 회복하고, 커뮤니케이션 경험을 개선하기 위한 움직임으로 해석된다.

 

카카오는 향후 메시지 분류, 대화방 알림 관리, 추천 피드 구조 등 사용자 경험 개선 기능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업계에서는 카카오톡의 새로운 기능이 ‘예의 있는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문화’ 형성에 기여할 가능성이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현대 사회에서 메신저는 가장 일상적인 소통 수단이 된 만큼, 알림 하나의 무게가 점점 커지고 있다는 것이다. 카카오 관계자는 “조용한 시간에도 예의를 지키며 소통하고 싶은 이용자들의 요구를 반영했다”며 “향후에도 다양한 방식의 커뮤니케이션 옵션을 확대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e마케팅저널 조경선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