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시대, 중소 제조업이 지속 성장하기 위한 새로운 경영전략

작은 기업도 기술을 활용하면 강해진다 — 디지털 역량이 곧 경쟁력이다

AI 기술은 이제 대기업만의 도구가 아니다. 중소 제조업도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면 생산성, 품질, 비용 구조를 근본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그러나 규모가 작은 기업일수록 기술 도입이 부담스럽고, 무엇부터 시작해야 할지 막막한 경우가 많다. AI 시대에 중소 제조업이 지속 성장하기 위해서는 작계 시작해 크게 성장하는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첫 번째 전략은 데이터 기반 경영 전환이다. AI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데이터를 수집하고 관리할 수 있는 체계를 만들어야 한다. 설비 가동시간, 불량 정보, 작업시간, 재고 현황 등 기본적인 생산 데이터를 자동으로 기록하면 생산 흐름의 문제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 중소기업은 이 단계만 구축해도 의사결정의 정확도가 크게 향상된다.

 

두 번째는 부분 자동화, 스마트화의 단계적 추진이다. 많은 기업이 전체 자동화를 목표로 하다가 비용 부담에 좌절한다. 대신 조립, 포장, 검사처럼 반복 작업이 많은 공정부터 자동화하면 적은 비용으로 높은 효과를 낼 수 있다. 이후 MES, IoT 센서 등 디지털 도구를 점차 확장하면 자연스럽게 스마트팩토리로 진화할 수 있다.

 

세 번째 전략은 인력의 디지털 역량 강화이다. 기술을 도입해도 사람이 활용하지 못하면 효과는 제한적이다. 현장 작업자부터 관리자까지 데이터 해석 방법, 시스템 사용법, 문제 해결 능력을 강화해야 한다. AI 시대의 인력은 단순 작업자가 아니라 데이터 기반 문제 해결자가 되어야 한다.

 

네 번째는 정부 지원제도 적극 활용이다. 중소벤처기업부의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사업, R&D 바우처, 제조혁신 플랫폼 등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은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 비용 부담을 크게 줄여준다. 기술보증기금과 신용보증기금의 디지털 전환 기업 지원도 좋은 선택지다.

 

결국 AI 시대의 지속 성장은 기술이 아니라 전략과 실행의 문제이다. 중소기업도 기초 데이터 수집에서 시작해 자동화, AI 활용으로 발전해 나가야 한다. 중요한 것은 한 번에 큰 도약이 아니라, 꾸준한 변화의 누적이다.

 

 

한국e마케팅저널 주택규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