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일반

2026학년도 수능, 선택과목 유불리 최소화 목표로 출제… “난도 균형에 초점”

출제위원장 “과목 간 점수 격차 줄여 공정성 강화”… 교육계 “실제 성적표에서 확인 필요”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은 선택과목 간 유불리 가능성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출제됐다고 출제위원회가 13일 밝혔다.

 

2026학년도 수능 출제위원장인 김창원 경인교육대학교 교수는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선택 과목이 있는 영역에서는 과목별 난이도의 균형이 이뤄지도록 출제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과목 선택에 따른 유불리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출제하고자 했다”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특히 선택과목 구조에서 발생해온 난이도 차이가 특정 과목 선택자에게 불리하게 작용하지 않도록 출제 단계에서부터 조정 작업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그는 “문항별 중요도, 사고 수준, 난이도, 소요 시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과목 간 균형 있는 구성으로 출제했다”고 말했다.

 

또한 출제위원회는 사교육 풀이기법을 이용한 특정 유형 편중 현상을 줄이기 위해 기교적 문항이나 지나치게 복잡한 계산 중심 문항을 배제하는 방식을 유지했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사교육 영향력이 과도하게 작동하는 문항은 제외해 학생들이 수업 중심의 학습으로도 대응할 수 있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영역별 문항 구성은 기존 수능 체제를 유지하며 공통과 선택 문항 비중 또한 종전과 동일하게 적용됐다. 출제위원회는 “학생들의 학습 부담을 고려해 큰 틀의 체제를 유지하는 가운데 선택과목 간 난도 균형을 통해 형평성을 높이고자 했다”고 밝혔다.

 

한편 2026학년도 수능은 오늘 실시될 예정으로, 올해 수능은 55만 5174명이 응시했으며 이중 재학생은 37만1897명, 졸업생 등은 18만2277명이다. 

 

 

한국e마케팅저널 조경선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