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일반 AI 인재 100명 중 절반은 중국계… 한국은 ‘단 1명’의 현실
글로벌 인공지능(AI) 패권 경쟁이 기술을 넘어 인재로 옮겨가고 있다. 이제는 속도가 아니라, 기술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사람’과 그 사람을 국가 시스템 안에 어떻게 설계하느냐가 경쟁력을 결정한다. 세계 100대 AI 연구자 중 절반 이상이 중국계인 반면, 한국은 단 한 명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미래연구원(원장 김기식)이 최근 발표한 《AI 패권 시대 인재전략: 중국의 AI 산업생태계 구축과 정책적 시사점》 보고서는 이 같은 현실을 짚었다. 보고서는 현재 AI 경쟁이 기술 중심에서 ‘인재 중심 국가 시스템’ 경쟁으로 전환됐다고 분석했다. 중국이 AI 논문과 특허에서 미국을 앞지른 것도 정부가 주도한 인재 생태계 설계 덕분이라는 것이다. 중국은 지난 10여 년간 ‘기술 굴기(崛起)’와 함께 ‘인재 굴기’를 병행해 왔다. 스타트업과 대기업이 수직적으로 연결된 협업 구조, 연구개발과 산업 적용을 잇는 전주기 체계, 고위험 연구개발을 지원하는 선행 투자, 공공데이터 개방과 거버넌스 정비, 초거대 연산 인프라 구축 등 모든 전략이 ‘사람을 중심에 둔 기술정책’으로 묶인다. 특히 인재의 진입부터 양성, 정착까지를 제도화해 한 인재가 연구자에서 산업 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