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일반

은행 영업점에서도 이용 가능해진 오픈뱅킹·마이데이터 서비스

디지털 금융 서비스 채널 확대…디지털 취약계층 접근성 향상 기대

 

금융당국이 그동안 온라인에서만 이용할 수 있었던 오픈뱅킹과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은행 영업점으로 확대하기로 하면서 금융 소비자들의 서비스 이용 범위가 대폭 넓어지게 되었다.

 

금융위원회는 19일 “웹·모바일 기반으로만 제공되던 오픈뱅킹·마이데이터 서비스를 19일부터 전국 은행 영업점에서도 이용할 수 있도록 채널을 전면 확대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온라인 환경에 익숙하지 않은 고령층, 디지털 취약계층도 직접 은행 창구를 방문해 동일한 금융서비스를 지원받을 수 있게 됐다.

 

오픈뱅킹은 2019년 도입 이후 여러 은행 계좌를 한 번에 조회·이체할 수 있는 편의성 덕분에 이용자 수가 크게 늘었으며, 마이데이터 역시 2022년 제도화된 이후 개인의 금융 데이터를 통합해 자산관리·지출 분석 등 맞춤형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핵심 플랫폼으로 자리 잡았다.

 

그동안 이러한 혁신적 서비스는 대부분 온라인·모바일 환경에서만 접근이 가능해 디지털 역량이 낮은 계층에게는 사실상 활용 장벽이 존재했다. 금융위는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영업점 창구에서도 계좌 연결, 데이터 제공 동의, 자산 통합 조회 등 주요 기능을 동일하게 이용하도록 허용했으며, 이를 위해 은행 창구 직원 대상 안내 기준과 교육체계도 마련했다.

 

금융위는 “디지털 접근성이 낮은 고령층과 취약계층도 창구에서 직원 안내를 통해 안전하게 서비스를 시작할 수 있게 됐다”며 “이는 금융 포용성을 높이는 중요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금융업계는 이번 조치를 계기로 오픈뱅킹·마이데이터 활용 경쟁이 더욱 본격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 핀테크 기업과 은행 간 협업·경쟁 구도가 확대되고, 영업점 기반 자산관리·고객응대 방식도 변화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다.

 

오프라인에서 동일한 디지털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번 조치는 ‘비대면 중심 금융’에 익숙한 흐름 속에서 오랜만에 등장한 실질적 접근성 개선 정책으로 평가되며, 향후 금융 포용 확대와 서비스 간 경쟁 촉진이라는 두 가지 효과를 동시에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e마케팅저널 조경선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