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주요 이커머스 기업들이 오프라인으로 발걸음을 넓히고 있다. 그동안 온라인에서 ‘클릭 중심’으로 소비자와 만났던 플랫폼들이 이제는 체험형 공간을 통해 소비자와 직접 소통하며 새로운 시장 돌파구를 모색하는 모습이다. 업계에서는 이 같은 움직임이 쿠팡·네이버 중심으로 고착된 온라인 시장 구조 속에서 차별화된 소비자 접점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으로 해석한다. 실제로 최근 들어 SSG닷컴, 무신사, 컬리, 에이블리 등 주요 이커머스 기업들이 잇따라 대형 팝업스토어와 체험형 행사를 열며 오프라인 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다. 대표적으로 CJ올리브영은 지난 5월 서울 한강 노들섬에서 약 3,500평 규모의 ‘뷰티 페스타’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에는 3만3,000명 이상의 관람객이 몰리며 K-뷰티에 대한 높은 관심을 입증했다. 단순 전시를 넘어 신진 브랜드와의 협업 부스를 마련해 상생에도 힘을 쏟았다는 평가다. 올해 행사는 ‘올리브영 어워즈’ 수상 브랜드뿐 아니라 유망 중소 뷰티 브랜드까지 참여 폭을 넓혀 산업 전반의 비즈니스 네트워크 강화에 초점을 맞췄다. 현장을 찾은 소비자들은 제품을 직접 테스트해보고, SNS 인증샷을 공유하며 자연스럽게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는 효과를
신세계그룹이 이커머스 부진을 털고 새 출발에 나섰다. 그룹의 양대 축인 G마켓과 SSG닷컴이 각각 글로벌 협업과 내부 시너지 강화라는 다른 해법으로 반등에 나선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G마켓은 알리바바 그룹 산하 알리익스프레스와 합작법인(JV) 설립을 본격 추진했다. 공정거래위원회의 승인 이후 조직 구성과 사업 계획 수립 등 실무 절차에 착수했으며, 이르면 올해 안에 G마켓 셀러들이 알리바바 플랫폼을 통해 해외 고객에게 직접 상품을 판매할 수 있을 전망이다. 첫 진출 국가는 싱가포르·베트남·태국·필리핀·말레이시아 등 동남아 5개국이며, 장기적으로는 200여 개국으로 판로를 넓힐 계획이다. 또 G마켓은 알리바바 계열 이커머스 ‘라자다’와 제휴를 통해 약 2,000만 개 상품을 현지 고객에게 공급하기 시작했다. 다만 공정위가 데이터 공유를 제한하는 조건을 달아, 마케팅 측면의 제약을 어떻게 극복할지가 관건이다. G마켓은 21일 서울 코엑스에서 미디어데이를 열고 새로운 출발을 알렸다. G마켓은 내년에만 약 7000억원에 달하는 적극적인 비용 집행을 통해 셀러들이 가장 신뢰하는 플랫폼을 만들고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도 적극적 사업 확장을 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먼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