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부(장관 한성숙)는 18일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본부에서 외부 전문가, 한국조폐공사,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과 함께 ‘온누리상품권 제도 개선 회의’를 열었다. 이번 회의는 온누리상품권의 건전한 유통질서 확립과 제도 신뢰성 강화를 위해 마련됐다. 지난해 발표한 종합 개선방안의 이행 현황을 점검하고, 지류상품권 구매, 환전 한도 축소, 이상거래탐지시스템(FDS) 고도화, 현장 점검 등 주요 조치의 시장 반응을 공유했다. 또한 국회에 계류 중인 특별법 개정안을 바탕으로 상인 간 거래 금지, 상품권 재판매 금지, 부당이득 환수 등 관리·감독 강화 방안이 논의됐다. 아울러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의 앱 고도화 방안도 집중 검토됐다. 가맹점 검색 기능 개선, 학습형 챗봇을 통한 민원 응대, 테마별 가맹점 안내 등이 포함되며, 카드사, POS 데이터와 연계한 맞춤형 추천 서비스, 소상공인 대상 매출 분석 리포트 제공 방안도 제시됐다. 최원영 소상공인정책실장은 “온누리상품권을 지역경제 대표 정책수단으로 발전시켜 소상공인과 소비자가 모두 신뢰할 수 있는 제도로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자료제공=중소벤처기업부> 한국e마케팅저널 주택규 기자 |
중소벤처기업부(장관 한성숙)는 지난 15일 시작된 상생페이백 접수 첫날에 약 79만명이 신청했다고 16일 밝혔다. 상생페이백은 만 19세 이상 국민을 대상으로 9월부터 11월까지 카드 사용액이 작년 평균 대비 늘어난 경우, 증가분의 20%를 월 최대 10만 원(3개월 30만 원 한도)까지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하는 제도다. 지역별 신청 현황을 보면 수도권이 44만 명으로 전체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으며, 비수도권에서는 부산과 경남 순으로 신청자가 많았다. 정부는 신청 분산을 위해 출생연도 끝자리에 따른 5부제를 운영 중이며, 지원대상 여부는 신청 이틀 후 알림톡으로 안내된다. 또한 사용처도 대폭 확대됐다. 읍, 면 단위 657곳과 로컬푸드직매장 251곳이 새롭게 포함돼 총 780곳에서 사용할 수 있다. 디지털 취약계층을 위한 은행 창구도 전국 8,100여 곳으로 늘어 접근성이 높아졌다. 한편, 런칭 기념으로 이달 30일까지 디지털 온누리 앱에서 5만 원 이상 충전 시 1만 명에게 1만 원 상품권을 지급하는 이벤트도 진행된다. 중기부는 “보다 많은 국민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홍보를 강화하고 사업을 차질 없이 운영하겠다”고 밝혔다 <자료제공=중소벤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