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만 원 지원에 283만 명 몰렸다” — 소상공인 부담경감크레디트 첫 달 폭발적 반응

대상자 91% 신청, 전기요금에 절반 사용… 사용처 확대해 사각지대 해소 기대

 

‘소상공인 부담경감크레디트’ 첫 달 성과와 과제
서울,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는 ‘소상공인 부담경감크레디트’가 첫 달 만에 283만 명의 신청을 받았다고 12일 밝혔다. 이는 전체 대상(약 311만 명)의 91%에 해당하는 규모로, 사업 시작 초반부터 높은 호응을 얻고 있음을 보여준다. 신청자 중 224만 3,170명이 최종적으로 선정되어 크레디트를 지급받았으며, 지급 후 실제 사용된 금액은 1,571억 원 규모로 집계되었다.
 

사용 내역: 전기·보험료 절반 차지
가장 눈에 띄는 사용처는 전기요금으로, 총 사용액의 약 절반에 해당하는 716억 원(46%)이 차지했다. 이어 4대 보험료(국민연금·건강보험·고용보험·산재보험)에 714억 원이 쓰이며 전기요금과 거의 대등한 비중을 보였다. 나머지는 가스요금 104억 원, 수도요금 37억 원 순이었다. 한편, 신청자 1인당 한 달 평균 사용액은 약 7만 원이다.
 

사용처 확대로 지원 사각지대 해소
중기부는 11일부터 통신비·차량 연료비를 새롭게 사용처에 추가했다. 이로써 기존 전기·가스·수도·4대 보험 외에 총 9개 항목에서 크레디트를 사용할 수 있게 됐다.
특히 건물관리비에 공과금이 포함된 집합건물 입주 소상공인 약 60만 명 이상이 직접 결제 방식의 불편을 겪고 있었으나, 이번 조치로 이들의 지원 사각지대 해소가 기대된다.

 

“절차 간소화가 성과 견인”
중기부는 지난해 전기요금 지원 사업의 낮은 예산 집행률을 교훈 삼아, 서류 제출 없이 카드 등록만으로 자동 차감되는 간편한 시스템을 구축했다. 이 덕분에 신청자들의 만족도와 사용 효율성이 크게 향상되었다는 평가다.
 

‘소상공인 부담경감크레디트’는 최대 50만 원 한도 디지털 포인트를 통해 전기·통신·보험료 등을 지원하는 정책으로, 첫 달 91% 신청률과 1,571억 원 사용이라는 성과를 기록했다. 특히 전기요금과 보험료에 집중적으로 사용된 점, 그리고 사용처를 넓힌 적극적인 대응이 눈에 띈다.

 

앞으로 정책의 지속 가능성, 사용자 편의성, 적절한 예산 집행을 위해서는 세밀한 모니터링과 체감도 조사, 사용처 확대 타진 등이 필수적이다.

 

 

한국e마케팅저널 조경선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