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가 2분기 매출액 2조9151억원, 영업익 5,216억원을 각각 기록했다고 8일 잠정 공시했다.
2025년 2분기, 쿠팡은 매출 11조 9,763억원(+19%)·영업이익률 1.7%를 기록하며 공격적 투자 기조를 이어간 반면, 네이버는 매출 2조 9,151억원(+11.7%)·영업이익률 17.9%(영업이익 5,216억원)라는 안정 성장의 명암을 드러낸 것이다.
양강 체제 아래, 중소 셀러와 소비자는 각 플랫폼의 강점을 어떻게 활용할지 전략적 선택이 요구된다.
쿠팡이 ‘성장 우선·수익성 차선’ 전략으로 시장점유율 확대를 꾀하는 동안, 네이버는 커머스(+19.8%)·핀테크(+11.7%) 부문을 중심으로 수익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끌어올렸다. 두 기업의 2분기 실적을 비교해보면 다음과 같다.
지표 | 쿠팡 (2025년 2분기) | 네이버 (2025년 2분기) |
---|---|---|
매출액 | 11조 9,763억원 (+19%) | 2조 9,151억원 (+11.7%) |
영업이익률 | 1.7% (OG&A 증가로 -0.3%p) | 17.9% (영업이익 5,216억원) |
주요 성장동력 | 로켓배송·로켓프레시·대만 시장 | 커머스(+19.8%), 핀테크(+11.7%) |
쿠팡의 공격적 투자 vs. 네이버의 견조한 성장
-
쿠팡: 로켓배송·로켓프레시 등 물류 인프라 강화와 대만 시장 세자릿수 성장(+54%)이 매출 성장을 견인했으나, OG&A(영업·일반관리비) 지출이 전년 동기 대비 0.96%포인트 늘어나 영업이익률을 1.7%로 낮췄다.
-
네이버: 서치플랫폼(+5.9%)과 커머스(+19.8%)가 고루 성장하며, ‘네이버플러스 스토어앱’ 정착과 N배송 경쟁력 강화가 실적 호조를 이끌었다.
플랫폼 선택의 분기점
앞으로 셀러와 소비자는 두 플랫폼의 차별화된 강점을 전략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
쿠팡: 물류망·AI 마케팅·데이터 분석 통합 플랫폼으로서, ①로켓배송 등록률 ②AI 광고·키워드 최적화 ③재고·평점 관리의 3대 전략축을 완성할 때 ‘규모의 경제’를 만끽할 수 있다.
-
네이버: 검색 기반 트래픽과 커머스·핀테크 연계 서비스로, 브랜드스토어·플러스 멤버십 등을 활용해 충성 고객을 확보하는 전략이 유효하다.
e커머스 시장이 쿠팡과 네이버 양강 체제로 굳어져 가는 지금, 단순 입점만으로는 생존이 어렵다.
“쿠팡이냐, 네이버냐”를 넘어, 각 플랫폼의 핵심 역량을 내 비즈니스 모델에 맞춰 최적화하는 이른바 ‘맞춤형 플랫폼 전략’이 셀러와 브랜드의 성패를 가를 결정적 변수가 될 것이다.
■국가공인 경영지도사(마케팅), 유통관리사, 사회조사분석사, 데이터분석준전문가, 인공지능콘텐츠강사 1급 외 다수 전문자격 보유
- (현)중소혁신경영마케장
- (현)네이블파트너스, 네이블마케팅 대표이사
- (현)중소벤처기업부 비즈니스지원단 자문위원
- (현)한국중소벤처기업유통원 마케팅 평가위원
- (현)제주테크노파크 마케팅 기술닥터
- (현)충남창조경제혁신센터 마케팅 멘토
- (현)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마케팅 멘토
- (현)스타트업엑셀러레이터(씨엔티테크) 투자 심사역
- (현)스마트팜 ICT 추진단
한국e마케팅저널 임진우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