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과학수사연구원이 딥페이크 범죄 대응을 위한 인공지능(AI) 기반 분석모델을 공식 개발, 수사에 본격 투입한다. 행정안전부와 국과수는 올해 4월까지 ‘AI 딥페이크 분석모델’ 개발과 검증을 완료했으며, 5~6월 두 달간 60여 증거물에 대해 감정을 실시해 대선 기간 후보자 관련 딥페이크 13건, 디지털 성범죄 2건 등 총 15건을 성공적으로 판별했다. 특히 중앙선거관리위원회와 협력해 유튜브 등에서 불법 합성 선거물 1만여 건을 삭제하는 데 기여하는 성과도 거뒀다.
▲ 사진제공 : 법무부
‘AI 딥페이크 분석모델’은 인공지능 기술로 이미지, 영상, 음성 등에서 합성·변조 흔적을 자동으로 탐지한다. 얼굴·음성 등 미세한 비일치성과 변조 흔적을 빠르게 추출해 딥페이크 여부를 정밀 판별하고, 일부 화질·음질이 저하된 데이터에도 강력한 분석력을 발휘하도록 설계됐다.
실제 대선 기간 후보자의 허위 발언 영상, 온라인 불법 합성물 등에서 신속하고 과학적인 감정 결과를 수사기관에 제공함으로써 사회적 혼란과 피해 확산을 차단했다. AI 딥러닝 신기술과 국내외 데이터셋 약 231만 건이 활용되어 탐지 성능이 대폭 강화됐으며, 변조 확률 예측 등 객관적 판단 기준도 제공한다.
행정안전부와 국과수는 이번 AI 모델의 활용을 더욱 확대할 방침이다. 향후 디지털 증거물 인증시스템(DAS)과 통합 운용하고, 여성가족부, 방송통신위원회 등 유관기관에도 모델을 보급해 범정부적 딥페이크 대응 역량을 강화할 계획이다.
또 기존 보이스피싱 분석모델과 연계해 음성 기반 합성 범죄 판별에도 시너지를 기대하고 있다. 국과수 이봉우 원장은 “국민이 신뢰하는 과학수사체계 구축에 AI 등 첨단기술 도입을 선도하겠다”고 밝혔다
한국e마케팅저널 주택규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