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 식용 종식법이 시행된 지 1년, 전국 개농장의 70%가 문을 닫았다. 정부는 당초 예상을 뛰어넘는 폐업 속도를 긍정적으로 평가했지만, 시민단체들은 여전히 남겨진 개들의 삶을 지켜줄 사후 관리가 부족하다며 우려를 전했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올해 2구간(2025년 2월 7일~8월 6일) 동안 461호가 폐업을 신고해, 지금까지 총 1,072호가 문을 닫았다. 이는 전체 1,537호의 약 70%에 해당한다. 정부는 올해 안에 전체의 75% 이상이 폐업할 것으로 내다봤다. 농식품부는 “국내외 입양, 반려·경비견 분양, 지자체 이관 등 다양한 방식으로 개들이 새 보금자리를 찾고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현장에서는 많은 개들이 여전히 도살되거나 다른 농장으로 옮겨졌을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 나온다. 동물자유연대는 “폐업 신고율만으로는 개 식용 종식의 진짜 성과를 가늠하기 어렵다”며 “남은 개들이 방치되지 않도록 철저히 감시하고, 신속히 시설을 철거하며, 사육 포기 동물들을 적극적으로 보호해야 한다”고 촉구했으며, 국제동물보호단체 휴메인 월드 포 애니멀즈 역시 “조기 폐업은 환영하지만 남아 있는 개들을 위한 대책이 절실하다”며 “현실적으로 입양률이 낮은 만큼,
반려동물 관련 민원이 급증하면서 동반문화에 대한 사회적 경각심이 커지고 있다. 국민권익위원회는 최근 1년간 접수된 반려동물 관련 민원이 총 20,896건에 달했다고 31일 밝혔다. 이는 전년도 같은 기간(10,848건)과 비교해 약 1.9배 증가한 수치다. 권익위에 따르면 올해 3월 기준 월평균 민원 건수는 약 1,741건으로, 지난해 같은 시기 월평균 904건과 비교해 크게 늘었다.특히 민원 가운데 ‘목줄 미착용’, ‘배설물 무단 방치’, ‘지속적인 짖음’ 등이 가장 빈번하게 지적됐다. 경기도에 거주하는 한 시민은 “반려견이 목줄 없이 아파트 단지를 활보하는 일이 자주 발생해 아이가 밖에 나가는 것을 꺼려 한다”고 전했다. 실제로 '위협을 느낄 정도로 관리되지 않은 반려견’에 대한 민원 비중은 전체의 42%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권익위는 “공공장소에서 목줄을 하지 않은 채 반려견을 동반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으며, 이에 따른 안전사고 위험도 증가하고 있다”며 “시민 불안감이 높아지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 “배설물 방치·소음 민원도 여전”…지자체 현장 점검 강화 필요 민원 유형 가운데는 목줄 문제 외에에도 배설물 처리 미흡(29%), 짖는 소리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