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일반 MZ가 이끄는 ‘필코노미’…감정이 소비를 결정한다
“나 우울해서 빵 샀어.” 최근 SNS에서 자주 보이는 이 표현은 단순한 농담이 아니라 새로운 소비 트렌드를 상징한다. 특별한 필요가 없어도 기분을 전환하기 위해 지갑을 여는 ‘필코노미(Feel+Economy)’가 확산하며 일상 속 작은 만족을 위한 소비가 늘고 있다. 호텔급 수건, 고급 양말, 프리미엄 베이커리 등 부담 없는 가격대의 ‘기분 충전’ 상품들이 인기를 끄는 이유다. 김난도 서울대학교 소비자학과 명예교수는 ‘트렌드코리아 2026’에서 필코노미를 내년 주목할 소비 키워드로 제시했다. 필코노미는 소비자가 자신의 감정 상태를 진단하고 이를 더 긍정적으로 만들기 위해 재화와 서비스를 구매하는 경제 현상이다. 특정 목적이나 욕구 기반의 소비가 아니라, 이유 없이 생기는 기분 그 자체가 소비의 출발점이 되는 것이 특징이다. 유통업계도 이러한 흐름에 발맞춰 감정적 경험을 강화한 마케팅을 확대하고 있다. 식음료, 독서, 공연 등 생활 밀착형 브랜드를 중심으로 즉각적 심리 보상을 제공하는 제품과 공간 구성이 늘고 있으며, 브랜드 스토리텔링과 감각적 경험 디자인을 통해 소비자가 ‘기분이 좋아지는 순간’을 체감하도록 하는 전략이 잇따르고 있다. ▲ 할리스 마시코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