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일반 성과 못 내면 자리 없다"… 네이버, 파격적 '레벨제' 도입
네이버가 최근 직원들의 업무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근속 연수와 상관없이 '레벨제'를 도입한다고 발표하였다. 이는 조직 쇄신과 성과 독려를 위한 조치로, 특히 인공지능(AI)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네이버는 2월 24일 공지를 통해 레벨 기반 성장체계 도입 계획을 밝혔으며, 3월 5일 전 직원 대상 설명회를 통해 제도 도입의 검토 과정과 구체적인 내용, 향후 계획을 안내할 예정이다. 레벨제는 근속 연수와 상관없이 직원의 역량을 평가해 레벨을 부여하고, 이를 성과 보상 체계와 연동하는 구조이다. 이는 입사 3년 차 직원이 우수한 성과를 낼 경우, 10년 차 직원보다 더 높은 레벨을 받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네이버는 지난해 중간 관리자 직급 체계를 '책임리더'와 '리더'로 나누었다가 '리더'로 통일하며 수평적 조직구조를 만들었으나, 이로 인해 회사 내 위치가 불분명하다는 지적이 있었다. 레벨 기반 성장체계 도입을 통해 직원들이 회사 내에서 자신의 위치를 명확히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사실, 네이버는 2020년에도 레벨제 도입을 검토했으나 내부 반발로 무산된 바 있다. 당시에는 상사에게 잘 보이기 위한 성과 경쟁과 스펙